WordPress 시작하기

WordPress 시작하기

워드프레스는 오픈소스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이다. 솔직히 저 정의를 읽어도 와닿지 않아서 내 방식대로 정리하자면 (맞는 정의인지는 모르겠음) 홈페이지를 블로그 운영하듯 편하게 만들고 관리하게끔 도와주는 무료 솔루션이다. 이것저것 가져다 붙이면 페이지가 완성되므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모르는데 웹 페이지 만들고싶은 사람에게 꽤나 도움이 될 것 같다. 또는 단순한 포트폴리오 페이지나 소개용 페이지를 만들 때 ㅡ 다시 말해 웹 서비스를 한다거나 프로그래밍 기술을 어필하기보다는 디자인이나 정보 제공이 우선일 때 ㅡ 빠르게 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다.

웹사이트를 만들거면 직접 코딩하고, 포트폴리오를 만들거면 내 깃허브나 블로그를 올리고 말지. 이렇게 살아온 터라 워드프레스와 같은 솔루션은 전혀 건드려본 일이 없었다. 앞으로도 그러려니 했지만 어림도 없지. 워드프레스로 제작한 페이지를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 닥쳤다. 뭘 알아야 수정을 할텐데. 맨땅에서 내가 직접 시작해보기로 했다. 1도 모르는 상태에서 정리해본 것이므로 내용이 틀릴 수 있음.

프로그래머가 아닌 사람을 위한 솔루션이므로 (물론 코드를 직접 수정하는 것도 가능함!) 예상하기로는 공부랄게 필요도 없이 방법은 직관적일 것이다. 다만 내가 살펴보려는 부분은 페이지 제작이나 호스팅보다는 워드프레스를 사용해서 만들어진 페이지의 실제 코드 구조 파악이다. 따라서 이 글은 실제 페이지 제작 및 호스팅을 위한 튜토리얼과는 결이 다를 수 있다.

워드프레스 시작 튜토리얼

1. WordPress 가입하기

2. 대시보드에서 새 사이트 생성하기

3. 도메인 및 요금제 선택

테스트 용이므로 무료로 제공하는 도메인과 호스팅 요금제를 사용한다.

4. 사이트 런칭하기

도메인과 요금제를 선택하면 대시보드에서 내 사이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사이트는 아직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다. 브라우저 주소창에 사이트 주소를 입력해도 접근할 수 없다는 뜻이다. 따라서 내 사이트를 실제로 공개하는 단계(Launching)가 필요하다.

실제 운영할 사이트라면 페이지를 구성하고 디자인해야겠지만 (Yellow Box), 여기선 과감히 생략하고 사이트 런칭부터 때릴 것임. (Red Box)

4-1. 런칭할 사이트의 도메인 & 요금제 선택

실제로 내 홈페이지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할 도메인을 고른다. 아까 선택한 무료 도메인을 그대로 이용할 것이다. ( 맨 아래에 있음 ) 요금제도 그냥 무료 사이트로 함.

4-2. 오픈이 완료된 내 사이트에 접속해보기

주소창에 도메인을 입력하면 내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여러 번 테스트하느라 도메인이 위와 다른데 암튼 과정은 같음.

from http://zept-gmk.tistory.com/28 by ccl(A) rewrite - 2021-09-12 21:2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