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WordPress)의 사용법은?

워드프레스(WordPress)의 사용법은?

반응형

1. WordPress를 설치한다

WordPress는 서버상에 설치하고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그래서 우선은 렌털 서버상에 WordPress를 설치하는 곳부터 시작합시다.

스스로 WordPress설치 파일을 입수하고 인스톨하는 방법도 있지만, 렌털 서버에 따라서는 자동 설치 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므로 그것으로 설치하면 간단하게 WordPress설치가 완료합니다.

특히 엑스 서버의 "WordPress퀵 스타트"를 이용하면 렌털 서버 등록을 WordPress사이트의 공개까지 약 1시간 정도로 다 마치는 시간이 없는 분에게는 추천입니다.

2. WordPress의 초기 설정을 실시한다.

우선은 관리 화면에 로그인하기 위해서, 아래의 URL에 로그인하고 봅시다.

http://(WordPress를 설치한 URL)/wp-admin

※SSL화 된 경우는 https://(WordPress를 설치한 URL)/wp-admin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표시될 것입니다.

설치 때 작성한 계정 이름과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관리 화면이 표시됩니다.

다음은 이 관리 화면을 통하여 다양한 WordPress의 초기 설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인스톨 직후의 상태는 디폴트의 설정 정보가 들어 있어 자신의 Web 사이트나 블로그에 맞추어 설정을 변경하고 갑시다.

WordPress의 설정을 실시하는 경우는 관리 화면의 왼쪽에 표시되고 있는 메뉴에서 설정을 실시합니다.

3. Web 사이트의 제목과 문구를 설정한다

우선 처음에 Web 사이트의 제목과 문구를 설정합시다.

화면 좌측 메뉴에서 설정→일"을 선택하세요..

사이트의 제목, 캐치 프레이즈가] 그 나란히 있는데 각각의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이트의 제목 사이트의 명칭. 검색 결과 등에 표시되기 때문에 제대로 생각하고 제목을 붙이도록 합시다.

캐치 프레이즈 사이트의 간단한 설명.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무슨 목적으로 후회하고 있는지 등 한마디로 나타나는 Web 사이트의 설명을 기입합시다.

Web 사이트의 공개 후도 제목과 문구를 변경할 수는 있지만 특히 제목은 어느 정도 접근되고 변경하면 유저를 혼란시키므로 최대한 처음에 정한 제목에서 변경하지 않는 것이 좋네요.

캐치 프레이즈는 꼼꼼하게 변경해도 별 문제없을 거예요.

4. 검색 결과에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noindex로 한다)

Web 사이트를 작성 도중에 아직 검색 결과에 표시하지 않겠다는 경우 설정을 변경해서 검색 결과에 표시되지 않도록(noindex) 합시다.

"설정"→"표시 설정"의"검색 엔진에서 표시"라는 항목에 체크를 하면 사이트 전체에 noindex가 부여되어 검색 결과에 표시되지 않도록 됩니다.

다만, 체크에서 제외해도 검색 결과에 표시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반드시 비공개로 하고 싶을 경우는 기본 인증 등을 설정하거나 로컬 환경에서 작성한 뒤 공개하도록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5. 코멘트의 표시를 무효로 한다

WordPress는 기본적으로 코멘트 기능이 온 이 되어 있지만 방치한 스팸의 투고가 그치지 않게 댓글 기능을 무효로 하고 버리는 사람도 많군요.

코멘트 기능을 무효화하려면"설정"→"토론"을 선택하고, "투고의 기본 설정"이라는 항목의" 새로운 투고에 대한 코멘트를 허용하는 "의 체크를 제외합니다.

"이 기사에 포함된 모든 링크에 대한 통지를 시도했다" 새로운 기사에 대한 다른 블로그로부터 통지(핑밧크・토랏크밧크)를 접수도 대부분의 사람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니, 함께 떼어 버려도 될까요.

6. RSS 피드의 건수와 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RSS 피드란 블로그나 미디어의 갱신 정보를 체크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Feedly, innoreader 같은 RSS 리더는 이 RSS 피드에서 신착 정보를 취득하고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RSS 피드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RSS 피드에 표시하는 건수

RSS에 본문을 모두 표시하거나 발췌만 표시하는가

표시 건수에 대해서는 특히 이유가 없으면 기본 10건으로 문제없이요.

전문 표시라도 문제없지만 발췌만 표시하고 계속은 Web 사이트에 접속해서 읽어 주고 싶어 발췌만 표시 두면 좋을까요.

from http://u-m-r-u-m-r.tistory.com/101 by ccl(A) rewrite - 2021-09-03 00:25:05